
유동룡의 제주
'이타미 준'으로 불리는 한 건축가의 흔적을 따라가니 어느새 제주에 다다랐다.
제주도에는 다양한 건축물이 들어서 있다. 제주를 방문하는 이들이 머무르고 드나드는 많은 건축물 사이에 건축가 이타미 준이 설계한 공간들은 유난히 제주를 닮아 있다. 제주의 바람과 돌과 능선과 물과 안개 그리고 켜켜이 쌓인 오랜 풍습까지. 그래서 그의 공간은 바람과 돌과 능선과 물과 안개와 조화를 이루며 언제인지 모르지만, 어쩌면 처음부터 그 자리에 자리 잡은 듯 보인다.

방주를 닮은 방주교회 © SATO Shinichi


빛이 들어오면 다른 느낌의 방주가 된다 © SATO Shinichi
자연에 충실한 ‘자연’
이타미 준. 본명은 유동룡(庾東龍). 경상남도 거창에서 나고 일본으로 이주한 재일 한국인 가정에서1937년 태어났다. 본관은 무송 유(庾)씨다. 불편함 이상의 뿌리 깊은 차별이 있었겠지만, 그는 본명을 버리지 않고 대한민국 사람 유동룡으로 평생을 살았다. 우리에게 익숙한 이타미 준이라는 이름은 필명이다. 한때 세계와 일본을 연결하던 이타미 국제공항에서 ‘이타미’를, 젊어서부터 절친하게 지낸 한국 대중음악 작곡가 길옥윤에서 ‘윤’(일본식 표기 ‘준’)을 따왔다.

이타미 준의 생전 모습
이타미 준은 감성적 시선으로 건축을 바라봤다. 건축의 본질, 사람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공간에 충실했다. 작가는 한낱 인간은 자연 앞에서 겸손할 수밖에 없으며, 사람이 머무르고 활동하는 공간은 자연 그 자체처럼 보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시선이 그렇다면 공간으로 만드는 과정과 행위도 그래야 한다고 믿었다. 유행에 예민하지 않은 대신, 자연의 흐름과 조화에 민감했다.
건축 철학을 담아내는 소재의 물성에도 관심이 많았다. 시대마다 유행하던 소재를 사용하는 대신, 다소 투박해 보이지만 묵직한 질감과 소재를 택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런 (시선과 철학으로 만든) 건축이 더 오래간다고 확신했다. 2003년 프랑스 기메 박물관에서 건축가로는 최초로 <이타미 준, 일본의 한국 건축가>전을 개최한 것도, 2005년 슈발리에(프랑스 예술문화훈장), 2006년 김수근문화상, 2010년 외국인 최초로 무라노도고상(일본 건축상)을 수상한 것도 그런 철학과 가치를 세상이 인정한 결과였다.
건축 철학을 담아내는 소재의 물성에도 관심이 많았다. 시대마다 유행하던 소재를 사용하는 대신, 다소 투박해 보이지만 묵직한 질감과 소재를 택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런 (시선과 철학으로 만든) 건축이 더 오래간다고 확신했다. 2003년 프랑스 기메 박물관에서 건축가로는 최초로 <이타미 준, 일본의 한국 건축가>전을 개최한 것도, 2005년 슈발리에(프랑스 예술문화훈장), 2006년 김수근문화상, 2010년 외국인 최초로 무라노도고상(일본 건축상)을 수상한 것도 그런 철학과 가치를 세상이 인정한 결과였다.

방주교회의 실내 © SATO Shinichi
“나는 풍토, 경치, 지역의 문맥 속에서 어떻게 본질을 뽑아내 건축에 스며들게 할지를 생각한다.”
제주에 남긴 그의 흔적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한 이타미 준은 제주에 애착이 남달랐다. 건축을 의뢰한 건축주들도 제주의 아름답고 독특한 자연 풍광과 이타미 준의 철학이 담긴 건축물이 멋진 조화를 이룰 것이라 기대했다. 그렇기에 제주 곳곳에 이타미 준이 남긴 좋은 건축물이 이처럼 많은 것이다.
그가 제주에 남긴 건축물로는 방주교회(2009년), 두손미술관(2007년), 포도호텔, 수풍석 미술관(2006년) 등이 있다.
그가 제주에 남긴 건축물로는 방주교회(2009년), 두손미술관(2007년), 포도호텔, 수풍석 미술관(2006년) 등이 있다.

밤에 본 두손미술관 © SATO Shinichi

© SATO Shinichi

두손미술관 실내 © SATO Shinichi
건축주와의 술자리에서 도모해 탄생했다는 수풍석 미술관은 미술관 그 자체가 자연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별도의 예술 작품을 미술관에 전시하지 않았으며, 제주의 토착 소재를 사용해 완성했다.
수(水) 미술관에는 말 그대로 미술관 내부에 물을 담아놓았다. 그리고 천장을 타원형 입방체로 뻥 뚫어서 미술관 내부에 담아놓은 물을 통해 비친 하늘을 그대로 품고 있다. 그리고 이타미 준 자신이 만든 돌 오브제에 앉아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수(水) 미술관에는 말 그대로 미술관 내부에 물을 담아놓았다. 그리고 천장을 타원형 입방체로 뻥 뚫어서 미술관 내부에 담아놓은 물을 통해 비친 하늘을 그대로 품고 있다. 그리고 이타미 준 자신이 만든 돌 오브제에 앉아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고요한 수면의 정적이 느껴지는 수(水) 미술관 © SATO Shinichi
“훌륭한 건축은 압축된 음악이며 빛과 그늘의 조화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나무로 지은 풍(凬) 미술관에서는 관람객이 제주의 바람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긴 복도에 세워진 나무 살 사이 틈으로 바람이 지나도록 만들어 바람 소리를 명상처럼 들을 수 있는 공간으로 완성했다. 소리와 감촉으로 바람을 느끼는 미술관인 셈이다. 석(石) 미술관은 녹슨 철판 구조물 실내에 돌을 설치하고, 건물 천장에 하늘을 향해 낸 구멍으로 들어온 빛이 이 돌을 시간대에 따라 비추도록 설계했다. 자연의 움직이는 시간을 바라보도록 한 것이다. 석 미술관은 “그늘 속 다양한 빛을 보는 눈이 탁월하다”라고 이타미 준의 건축을 평가한 일본 건축가 구마 겐고의 말을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다.

나무대 사이로 바람의 소리가 들려오는 풍(風) 미술관 © SATO Shinichi
이름에서 노아의 방주를 연상시키는 ‘방주교회’는 박공지붕을 세운 네모난 모양의 작은 교회다. 교회 주변으로 물을 놓았고 그 위로 징검다리를 내어 사람들이 다닐 수 있게 했다. 이 다리를 통해 마치 성스러운 방주로 이동하는 것 같다. 건축평론가 이주연은 징크로 구성된 지붕에 반사된 빛을 통해 교회가 주변을 넓게 포용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평가했다.

석(石) 미술관의 외경 © SATO Shinichi
건축의 의미는
이타미 준과 한 동네에 살면서 친하게 지내던 건축가 반 시게루는 건축가의 사회 행동에 의미를 두었다. 실제로 그는 사회를 위해 건축가가 해야 할 일을 강조했다. 종이를 소재로 편리하고 간소하고 저렴하고 튼튼한 건축물을 만든 것도 그런 의도에서다. 반면 이타미 준은 건축가는 자연의 시선에, 사람들의 시선에 거슬리지 않는 조화로운 양식을 완성해야 한다고 믿었다. 자연이 만들어내는 바람과 빛과 돌의 조화를.
제주에 가면 그런 조화를 만들어낸 이타미 준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유동룡의 제주를 만나게 된다.
제주에 가면 그런 조화를 만들어낸 이타미 준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유동룡의 제주를 만나게 된다.
제주에서 머물 곳: 롯데호텔제주


제주의 중문단지에 위치한 롯데호텔제주는 500개의 객실을 갖춘 리조트 호텔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선시티를 모델로 설계해 제주의 자연과 풍광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 8개의 레스토랑과 라운지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사계절 온수풀 해온은 가족 고객이 가장 선호하는 시설이다.
주소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로 72번길 35
전화 +82-64-731-1000
홈페이지 www.lottehotel.com/jeju-hotel
주소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관광로 72번길 35
전화 +82-64-731-1000
홈페이지 www.lottehotel.com/jeju-hotel